문제 설명
수많은 마라톤 선수들이 마라톤에 참여하였습니다. 단 한 명의 선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선수가 마라톤을 완주하였습니다.
마라톤에 참여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participant와 완주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completion이 주어질 때, 완주하지 못한 선수의 이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마라톤 경기에 참여한 선수의 수는 1명 이상 100,000명 이하입니다.
- completion의 길이는 participant의 길이보다 1 작습니다.
- 참가자의 이름은 1개 이상 20개 이하의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참가자 중에는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leo", "kiki", "eden"] | ["eden", "kiki"] | "leo" |
["marina", "josipa", "nikola", "vinko", "filipa"] | ["josipa", "filipa", "marina", "nikola"] | "vinko" |
["mislav", "stanko", "mislav", "ana"] | ["stanko", "ana", "mislav"] | "mislav" |
예제 #1
"leo"는 참여자 명단에는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없기 때문에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예제 #2
"vinko"는 참여자 명단에는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없기 때문에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예제 #3
"mislav"는 참여자 명단에는 두 명이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한 명밖에 없기 때문에 한명은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내 풀이1 (잘못된 풀이)
1
2
3
4
5
6
|
participant = ["leo", "kiki", "eden"]
completion = ["eden", "kiki"]
for i in participant:
if i not in completion:
print(i)
|
cs |
출전선수 명단으로 반복문을 돌린 후 완주한 선수명단에 해당 후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 후보의 이름을 출력하는 식으로 코드를 작성했다.
하지만 예제 3번에 같은이름의 후보가 2명 존재하여 정답출력에 실패했다.
내 풀이2 (잘못된 풀이)
1
2
3
4
5
6
7
8
|
participant = ["leo", "kiki", "eden"]
completion = ["eden", "kiki"]
for i in participant:
A = participant.count(i)
B = completion.count(i)
if A != B :
print(i)
|
cs |
그래서 이번엔 명단의 숫자를 비교해보았다.
출전선수 명단으로 반복문을 돌리는 것은 동일하지만 이번에는
A = 해당 선수의 이름이 출전선수 명단에 기입된 갯수
B = 해당 선수의 이름이 완주한 선수명단에 기입된 갯수
A와 B가 다르다면:
해당선수 이름을 출력
위와같이 입력하여 예제 3개를 모두 정상적으로 '테스트 통과'하였다.
그렇게 제출을 눌렀는데..
효율성 테스트에서 전부 실패했다 ^_^
아마도 반복문이 원인일 것이다.
선수의 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위와 같은 반복문으로 처리하기엔 시간복잡도가 꽤 클 것이다..
다시 천천히 고민..
하다가
결국 구글링 했다..
정답 풀이
1
2
3
4
5
6
7
8
9
10
|
import collections
participant = ["leo", "kiki", "eden"]
completion = ["eden", "kiki"]
result = collections.Counter(participant) - collections.Counter(completion)
answer = list(result.keys())[0]
print(answer)
|
cs |
Python이 제공하는 모듈인 collections. 그 중 Counter라는 class를 이용했는데,
List를 가지고 Counter를 생성하면, Key가 리스트 내부의 값이고, Value가 Count(몇개인지)인 Dictionary를 반환해준다.
이를 이용하여 위 코드에서 생성된 dict를 보자.
1. 출전한 선수명단
Key | Value |
leo | 1 |
kiki | 1 |
eden | 1 |
2. 완주한 선수명단
Key | Value |
eden | 1 |
kiki | 1 |
이제 핵심기술 들어간다.
Counter class는 상호간 뺄셈 연산을 지원한다.
그러므로,
result = collections.Counter(participant) - collections.Counter(completion)
이런 식으로 코드를 작성하게 되면
완주하지 못한 선수만 골라서 뽑을 수 있게 된다.
Key 는 leo 이고, Value 가 1 인 한 쌍의 dict만 남게되므로
우리는 이 반환값에서 Key값만 읽어와 출력하게되면 끝인 것이다.
어떻게?
answer = list(result.keys())[0]
- result로 부터 key값을 꺼내온다는 의지를 불태운다.
- list(result.keys())를 통해 keys를 리스트로 형변환 한 후,
- list(result.keys())[0]으로 0번째 인덱스 값을 읽어온다.
위 동작을 수행하고 나면 {"leo" : 1} 이라는 dict로 부터 ["leo"] 라는 list를 꺼내오게 되고, 여기서 인덱스 [0]으로 0번째 값에 접근하면 "leo"라는 String을 꺼내오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를 반환하면 정답이 된다.
return answer
프로그래머스 입력코드
1
2
3
4
5
6
|
import collections
def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result = collections.Counter(participant) - collections.Counter(completion)
answer = list(result.keys())[0]
return answer
|
cs |
이게 레벨 1?
진짜 말도안돼;
출처
대표사진 : http://www.chemica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47
하스스톤 짤 : https://www.inven.co.kr/board/hs/3509/1455717
정답풀이 참조 : https://coding-grandpa.tistory.com/85
'Learn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Java) 위장 (1) | 2022.07.12 |
---|---|
프로그래머스/Java) 전화번호 목록 (0) | 2022.07.11 |